WorldWideWeb(WWW)
1.정의
월드 와이드 웹의 줄임말. HTML로 작성된 홈페이지의 데이터는 인터넷에서 상호 링크하여 복잡한 컴퓨터 네트워크를 형성하고 있다. 마치 거미집처럼 복잡하게 접속되어 있어서 WordWide(세계적인) Web(거미집)이라고 불리게 되었다.[1]
2.정리
2.1 WWW(World Wide Web)
다들 홈페이지를 접속해보세요 혹시 광고 배너가 보이시나요? 안보이신다구요? 그럼 본문의 4.참고 에서 WWW를 클릭해보세요. 어때요 다른 페이지로 이동되지 않나요? 이처럼 우리는 웹 서비스를 이용하면서 한 홈페이지에서 여러 다른 홈페이지의 링크, 컨텐츠를 포함하는것을 자주 볼 수 있을 거에요 여기저기 섞여있는 모습이 마치 거미집 같지 않나요?
"WWW"는 여러분이 지금 생각하는 그런 의미로 지은 네트워크가 맞아요! 네트워크를 통해 다양한 데이터를 주고받을수 있게 해주는 네트워크인 WWW의 의미를 알겠죠?
2.2 네트워크 포트
우리는 컴퓨터에 연결된 네트워크 망을 사용하면서 www만 이용하는게 아니라 email 네트워크, FTP 네트워크, SSH네트워크 등을 이용해요 이러한 것들이 가능한 이유는 "만능 컴퓨터"에 그러한 기능들이 구현되어 있기 때문이죠 컴퓨터는 www 네트워크, email 네트워크를 사용할 수 있도록 미리 준비(프로그램) 해두었고 이를 port로 관리해요
편하게 생각하면 전용도로라고 볼 수 있어요 예를들어 80번도로는 WWW 전용도로, 465번 도로는 EMAIL전용 도로 컴퓨터는 이러한 포트번호를 통해 각 네트워크를 구분하고 문제없이 작동 시킨답니다~
2.3 HTTP 프로토콜
인터넷은 TCP/IP 프로토콜을 통해 서로 대화가 된다고 했죠? 그럼 WWW 프로그램끼리 대화를 하기 위해서는 어떤 규약이 존재할까요? 네 바로 맞았습니다. HTTP라는 약속을 통해 서로 대화를 하기로 약속했어요. HTTP는 개정판인 V2도 있지만 현재 가장 많이 사용하는 건 HTTPv1.1라고 해요
HTTP는 다음 글에서 더 자세히 다루도록 할게요~
3.후기
강의를 듣고 정리한 것과 이해되지 않았던 점을 집중적으로 공부 및 정리했어요. 틀린게 있다면 지적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4.참고
'웹' 카테고리의 다른 글
[WEB BASIC] 브라우저 (0) | 2019.02.04 |
---|---|
[WEB BASIC] HTTP 프로토콜 (0) | 2019.02.03 |
[WEB BASIC] 프로토콜 연결 방식 (0) | 2019.02.02 |
[WEB BASIC] 클라이언트/서버 모델(구조) (0) | 2019.02.02 |
[WEB BASIC] 인터넷? (0) | 2019.02.01 |